PDF파일 변환 한글,워드을 무료로 바꾸는 방법
요즘 업무나 학업에서 PDF 파일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대부분의 기기에서 프로그램 설치 없이 열 수 있어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PDF를 편집하려고 하면 문제가 생기죠. 특히 한글이나 워드로 변환해서 사용하고 싶을 때, 어떤 방법이 있는지 몰라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PDF 파일을 한글(HWP)이나 워드(DOCX) 파일로 변환할 수 있는 두 가지 무료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별도의 유료 프로그램 없이도 충분히 가능하며, 실제로 많은 분들이 활용하고 있는 방법입니다.
1. 구글 드라이브로 텍스트 기반 PDF를 워드로 변환하는 방법
텍스트 기반 PDF란, 블록 설정이 가능하고 복사해서 붙여넣기가 되는 PDF 파일을 말합니다. 이 경우에는 구글 드라이브만으로도 손쉽게 변환이 가능합니다.
사용 방법:
- 구글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 구글 드라이브에 접속해 PDF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 업로드한 PDF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 후, ‘Google 문서로 열기’를 선택합니다.
- 구글 문서에서 내용을 확인하고, 파일 > 다운로드 > Microsoft Word(.docx)를 선택하면 워드 파일로 저장됩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무료이며, 문서의 기본적인 레이아웃이 잘 유지되는 편입니다. 하지만 표 형식이 포함된 PDF의 경우 레이아웃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
2. RPDF 프로그램으로 이미지 기반 PDF를 한글·워드로 변환하는 방법
이미지 기반 PDF는 종이를 스캔하거나 사진으로 만든 PDF입니다. 이 경우에는 텍스트 블록 설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편집이 불가능합니다. 이런 경우 RPDF(알PDF)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변환이 가능합니다.
사용 방법:
- 네이버에서 ‘RPDF’ 또는 ‘알PDF’를 검색해 설치합니다.
- 설치할 때 광고 프로그램 설치 체크를 반드시 해제합니다.
-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PDF 파일을 열어봅니다.
- 상단 메뉴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 > 한글(.hwp) 또는 워드(.docx)로 선택해 저장합니다.
한글로 변환 시: 표는 이미지나 글상자 형태로 변환되어 편집이 다소 어렵습니다. 하지만 워드로 변환 시: 표를 인식하여 편집이 훨씬 수월합니다.
TIP: 변환된 워드 파일을 복사해 한글에 붙여넣기 하면 HWP 파일처럼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구글 드라이브와 RPDF를 활용하면 별도의 유료 프로그램 없이도 PDF 파일을 손쉽게 워드나 한글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파일의 종류(텍스트 기반인지, 이미지 기반인지)에 따라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PDF 파일이 블록 설정이 되지 않는데 어떻게 변환하나요?
A. 이는 이미지 기반 PDF입니다. RPDF 프로그램을 사용해 워드나 한글 파일로 변환하세요.
Q2. 구글 드라이브에서 PDF를 열었는데 표가 깨져요.
A. 구글 문서로 열면 복잡한 표는 제대로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 경우 RPDF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PDF를 한글 파일로 바로 변환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RPDF에서 HWP로 저장하면 되지만, 표나 글자는 이미지나 글상자로 변환되어 편집이 다소 불편할 수 있습니다.
Q4. 알PDF(RPDF)는 무료인가요?
A. 기본적인 기능은 무료입니다. 다만 광고가 뜨며, 이를 제거하려면 유료 구독이 필요합니다.
Q5. 변환한 워드 파일이 한글에서 열리지 않아요.
A. 워드 파일을 열고 전체 복사한 후 한글에 붙여넣으면 편집이 가능합니다. 줄 간격이나 글꼴은 수동으로 조절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