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재산세 납부일정과 예상 금액 조회하는 방법

by 12ho 2025. 4. 23.
반응형

 

재산세 납부기간 정확히 알고, 늦지 않게 챙기자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모든 국민이 매년 부담해야 하는 재산세. 그중에서도 재산세 납부기간은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꼭 확인해야 할 중요한 일정입니다.


이 글에서는 재산세의 기본 개념부터 납부일정, 계산 방법, 조회 및 분할납부 방법까지 실속 있게 정리해드립니다.

재산세 납부일정

📌 재산세 납부기간은 아래와 같이 두 번에 나누어 진행됩니다.

  • 7월: 주택(1기분), 건축물, 선박, 항공기 대상
  • 9월: 주택(2기분), 토지 대상

※ 납부기간은 각각 해당 월의 16일 ~ 말일(31일) 까지입니다.

예)

  • 1기분 재산세: 2025년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 재산세: 2025년 9월 16일 ~ 9월 30일

💡 주의사항: 납부기한을 넘기면 가산세(3% 이상)가 부과됩니다.

재산세 계산법, 어떻게 산정될까?

재산세는 공시지가 또는 과세표준 × 세율로 계산되며, 세율은 부동산 종류 및 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 주택 재산세 세율 (과세표준 기준)

  • 6천만 원 이하: 0.1%
  • 6천만 원 초과 ~ 1억5천만 원 이하: 0.15%
  • 1억5천만 원 초과: 0.25%

※ 토지, 건물 등은 별도 세율이 적용됨
※ 일정 조건 시 세액 공제 및 감면 가능

 재산세 과세기준일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현재 부동산 보유자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즉, 6월 2일에 집을 팔았더라도 6월 1일 기준 소유자라면 해당 연도 재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재산세 분납, 누구에게 가능할까?

세액이 5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2개월 이내에 나눠서 낼 수 있는 분할납부(분납) 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관할 시·군·구청 세무과 문의 또는 위택스에서 신청
  • 1차 납부 후 잔액을 별도 기한 내 납부

※ 분할납부를 신청해도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 부과 대상이 됩니다.

재산세 조회방법 (위택스·지방세입계좌)

재산세는 아래의 경로를 통해 조회 및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조회 및 납부 방법

  1. 위택스(www.wetax.go.kr) 접속
  2. 납부할 지방세 조회’ 클릭
  3. 공동 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로그인
  4. 납부 대상 세금 확인 및 카드·계좌 납부 가능
 

wetax

지방세, 위택스에서 더욱 더 쉽고 편리한 서비스를 만나 보세요

www.wetax.go.kr

 

또는, 카카오뱅크·토스·네이버페이 등에서도 알림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012345678910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재산세는 왜 2번 나눠서 내나요?
A1. 주택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1기(7월), 2기(9월)로 분할 납부됩니다.

 

Q2. 올해 집을 샀는데 전 주인이 재산세를 내는 건가요?
A2. 6월 1일 이전에 구입했다면 본인이 내야 합니다. 이후 구입은 전 소유자가 부담합니다.

 

Q3. 모바일로도 납부가 가능한가요?
A3. 네, 위택스 모바일 앱 또는 은행 앱을 통해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Q4. 가산세는 얼마인가요?
A4. 기본적으로 3%의 가산세가 부과되며, 체납 기간에 따라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

 

Q5. 납부 기한을 놓쳤어요. 어떻게 하나요?
A5. 가산세가 붙은 고지서를 다시 받게 되며, 늦더라도 빠르게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